‘김포 광역철도 시대’ 개막 •국토부,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 계획』 확정 고시 - 김포시 △신규 2개(서부권광역급행철도, 인천2호선 고양 연장) △서울5호선 추가 검토사업 등 3개 반영 ※ (수도권 전체) 신규 15개 사업(19.9조) 〉 (김포) 신규 2개 사업(3.99조)
국토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GTX-B 공유, 용산직결 추진’ 발표 •국토부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반영 - 김포 장기역 ~ 부천 종합운동장역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고시전문(국토부 홈페이지 게시)’, ‘국토부장관 국 회 답변’ ⇒ GTX-B와 서울 도심 직결 위한 부천종합운동장역~용산역 등 구간 공유
❖ GTX-B 선로용량, 배차 간격 등 추가 검토 ⇒ ‘서울역 등’ 직결 구간 확대 방안 지속 강구 (국토부 협의 등)
시민의 여망 ‘GTX 김포~하남’ 끝까지 간다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수도권 광역교통 역할 한계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와 ‘서울 남부급행철도(서울시 건의)’ 연계 ⇒ 수도권 동서 연결 ‘GTX 김포~하남’ 건설 → 수도권 광역교통 완성
가장 빠른 추진! 인천2호선 김포·고양 연장 •기존 도시철도 연결, 광역지자체 시행 → 가장 빠른 추진 가능 ⇒ 자체 전략 방안 마련으로 역사계획 및 비용분담, 운영방안, 환승체계 등 김포시 최적 방안 선점 •가장 빠르게 추진 중인 ‘GTX-A’ 킨텍스역 환승 ⇒ 서울 삼성역 등 도심 접근성 혁신적 개선
'서울5호선 연장’ 추가검토 사업 → 신규사업으로 조기 노력 •‘추가검토 조건’ 노선계획 및 차량기지 등 관련시설에 대한 지자체 간 합의 시 타당성 분석 거쳐 추진
(타당성) 노선계획, 차량기지 등 시설계획 재검토 및 대규모 개발사업 반영 등 경제성 향상 확보방안 선 강구 (지자체 합의) 지자체 간 협의체 구성을 통한 주요 쟁점사항 적극 해소
☞ 지자체 합의와 타당성 확보 ⇒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변경)’ 또는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신규사업’으로 반영
❖ 참고사항 광역철도 건설 절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또는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 → 예비타당성 조사 → 기본계획수립 →기본 및 실시설계 → 공사 착공 및 준공 광역철도 사업비 분담(건설비, 운영비) •건설비 → 국비(70%), 지방비(30%) ※ 지방비(경기도 50%, 김포시 50%) •운영비 → 지자체(100%) 부담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김포마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많이 본 기사
미래로 통하다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