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해 낙조와 황포 돛대 이동이 성행했다는 가현산! 경관이 잘 조성된 겨울 산에 오르다.
가현산은 상두산, 갈현산이라 불리다가 서쪽 바다의 석양낙조와 황포 돛대가 어울리는 경관이라고 가현산이라고 고쳐 불렀다고 한다. 또다른 산의 유래는 약쑥 등으로 중국과 물물교환이 성행해서 가현산 밑에 주막집이 많아서라고도 한다.
산 정산에서는 한강의 일부분, 임진강 하류, 개성 송악산, 인천대교, 영종대교 등을 조망할 수 있고 명산이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마산동 은여울공원 건너편쯤 구래낚시터 방향으로 가현산을 올라봤다. 그리 높지 않은 산이고 약 30분 정도 오르면 정자가 있는 가현산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아직 겨울이라 잔설과 낙엽 밑은 미끄러우니 산에 오를 때 조심해야 된다.
산에 오르기 전에 볼 수 있는 잘 조성된 명상의 숲(산림청에서 도시숲 만들기 사업)에는 파고라, 등나무의자, 그네, 야외식탁 등이 잘 정비돼 있다.
산을 오르는 내내 나이를 많이 먹었을 듯 한 소나무들과 활엽수 등을 볼 수 있고 겨울의 잔설이 남아 있어 산 곳곳은 겨울 산의 운치를 더해준다. 오르다 보면 여러 이정표들이 안내자 역할을 하고 있어서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 산 정상으로 올라 서해 바다의 풍광들이 가슴을 탁 트이게 한다. 다시 반대편으로 내려가다 보니 산비둘기인지 먹이를 찾아 나선 산새가 종종 걸음으로 날아가지도 않고 있어서 방해하지 않기 위해 잠시 쉬었다가 오르막길에 나서니 수애단(해돋이 행사, 신년기원제, 풍년기원제, 진달래 축제)이 있다. 그 곳을 지나 반대편으로 내려오다 보니 약수터, 쉼터, 운동기구 등도 있다.
가현산은 진달래 군락이 있어서 봄이면 진달래가 만발 했을 때 찾는 이들이 더 많고 낙조가 아름답기에 해질녘쯤에도 많은 분들이 찾는다. 오르는 방향도 하산 길도 여러 갈래이니 겨울철에 춥다고 집안에만 있는 것보다 잠시 짬을 내어 산에 오르면 건강도 찾고 움츠려있던 맘도 활짝 기지개를 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시민명예기자 김도경
이 기사 좋아요 1
<저작권자 ⓒ 김포마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