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상 속 도심항공교통, 2025년 상용화 목표 가까운 미래에는 일상 속 3차원 공중교통망이 일상화될 전망이다. 도심혼잡도 해결을 위해 등장한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은 친환경적이고 소음이 작아 도심에서도 운행 가능한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2025년 UAM 서비스 최초 출시를 목표로 2024년까지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권역별 노선계획도를 마련하고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일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실증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025년 도심항공교통 서비스 최초 상용화를 시작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교통 체증 없이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한편 생활 밀착형 드론 서비스를 활성화해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래교통의 중심지 ‘하늘 날다’ 국토부, 도심항공교통 비행의 첫 선은 ‘김포’에서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김포 아라마리나 문화광장에서 도심 항공교통 비행의 첫 선을 보인 바 있다. 국토교통부 주최 항공안전기술원 주관으로 열린 이날 행사를 통해 국산 개발 기체 및 버티포트** 탑승에 대한 기체 이륙부터 비행 및 회항, 착륙까지 공개했다. 잠실에서 행사현장까지 UAM을 통해 이동하는 영상을 가상으로 보여준 것에 이어, UAM 브이 스페이스와 볼트라인의 비행을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도심항공교통산업에 국내 및 해외기업 관심 집중 국내에서는 도심항공교통산업 개발에 SK, 한화시스템, 현대자동차 그룹이 뛰어든 것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외기업 중에서도 테슬라와 포드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면담 당시 테슬라가 연간 약200만 대 전기차를 생산할 아시아 제2공장(기가 팩토리)건립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테슬라와 전기차 사업 경쟁을 벌이는 포드 역시 전기차 사업 분사를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부서 미래도시과 031-980-5003
이 기사 좋아요 1
<저작권자 ⓒ 김포마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김포스페셜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