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는 2022년도 예산을 ‘21년 대비 9.68% 증가한 1조 6,618억 원으로 편성·확정했다. 2022년도 예산은 ‘오늘이 새롭고 내일이 이로운 시민행복 도시, 김포’를위해 △일상회복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시민 체감형 새로운 도시기반 인프라 조성 △사회적 약자 지원을 통한 두터운 사회안전망 확충 △탄소 중립 및 미세먼지 저감 친환경 사업 등을 통한 기후 변화 대응 △급격하게 변하는 코로나 상황 대응에 역점을 두었다. 2022년 김포시 예산이 어떻게 꾸려졌는지 살펴본다. 글 편집실(J) 자료제공 기획담당관 예산팀
사회복지 5,164억원 •영유아 1,418억 •아동 594억 •청소년 154억 •청년 56.8억 •노인 1,596억 •장애인 523억 •외국인, 다문화 17억 •기초생활보장 575억 •도로 확·포장 및 정비 499억 •김포골드라인 운영 및 증차 359억 •공영주차장 조성 66억 •경기도형 준공영제 운영 100억 •운수업체 재정지원 205억 경제 및 지역개발 1,064 억원 •지역화폐 사업 255억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163억 •제조융합혁신센터 건립 50억 •양촌2 공공폐수처리시설 설치 42억 •학운6산단 진입도로 개설공사 16억 •시네폴리스 공업용수도 건설 29억 보건 431억원 •코로나19 긴급방역 26.6억 •의료기관 백신 접종 시행비 77억 •첫만남 이용권 57억 •임신축하금 15.6억 •출산축하금 14.8억 •경기도 산후조리비 18억 친환경 및 농림축산업 1,948 억원
• 전기자동차 및 이륜차, 수소전기차 보급 282억 •무상급식 및 친환경 농산물 등 지원 261억 •미세먼지 저감 사업 63.4억 •농민기본소득 95억 •기본형 공익직불제 86억 •한강 솔솔 큐어파크 조성 25억 •학교급식물류지원센터 설립 18억 •대명항 어촌뉴딜300 사업 39억 일반공공행정 및 안전 2,571 억원 •청사 신축 158억 •김포시공유오피스 설치 4억 •봉성재해위험지구 정비 120억 •시민안전보험 5억 •자전거보험 2.8억 • 농업인 안전, 농작물 재해, 가축재해, 수산업 안전보험 7.9억 교육 154억원 •교육환경 개선사업 60억 •혁신교육지구 사업 42.9억 •중·고교 신입생 교복 지원 8.3억 •교육프로그램 지원 2억 •평생학습 운영 25억 문과 및 관광/체육 803억원 •운양도서관 건립 20억 •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주차장 조성 26억 •부래도 관광자원화 48억 •지역문화예술 활성화 28억 • 체육시설 확충 263억 •김포FC 운영 49.9억(k리그2)
전시민 • 김포페이 발행 및 연중 할인 지원 255억 • 시민안전보험 5억 생활믹착형 SOC •운양도서관 건립 20억 •김포양곡 복합형 체육센터 69억 •운양반다비 체육센터 54억 •풍무체육문화센터 32억 •학운체육문화센터 7억 •김포스포츠레저타운 건립 11억 •청소년수련관 건립 12억 위드 코로나 • 코로나 19 생활지원비 지원 31억 • 코로나19 긴급방역 26.6억 • 의료기관 백신 접종 시행비 77억 • 코로나19 버스업계 특별지원 5.5억 • 스마트 안심콜 서비스 지원 0.6억 • 메타버스 홍보공간 제작 0.2억 생애주기별 지원(출산.영유아.아동.청소년.청년.노인) •첫만남 이용권 57억 ※ ’22. 1. 1.부터 출생아 200만 원 지급(1회) •임신축하금 15.6억 •출산축하금 14.8억 • 영유아 보육료 552억·누리과정 지원 245억 •아동수당 급여 457억 ※ ’22년부터 만 8세 미만까지 확대 •청소년 교통비 지원 4.3억 •청년기본소득 38억 •기초연금 1,253억 교통망확충 • 김포골드라인 전동차 증차 100억 • 평화로(월곶 중로3-4호) 개설 120억 • 시네폴리스 진입도로 개설 10억 • 누산~마근포간도로 확포장 10억 • 시도12호선 도로확장(전류-원산) 30억 • 초원지-석정(간동사거리) 도로확포장 11억 • 월곶 도시계획도로(갈산~군하) 확포장 25억 • 월곶 도시계획도로(중로3-3호선) 확포장 21억 • 양촌 도시계획도로(소로2-9호선) 개설 20억 • 영사정IC 건설사업 3억 • 김포한강로 BRT 타당성 조사 2억
이 기사 좋아요 1
<저작권자 ⓒ 김포마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
많이 본 기사
미래로 통하다 많이 본 기사
|